본문 바로가기
돈이되는 정보

6+6, 3+3 부모 육아 휴직제 모든 정보 다 정리했습니다

by 김글빛 2023. 12. 25.
728x90
반응형

2024년 출산 혜택 육아 수당 할인 혜택 모든 지원금 총 정리

 

2024년 공무원 출산 혜택 단체보험 모성보호 시간 혜택 총 정리

 

육아휴직 제도란?

 올해의 변경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아직 육아휴직제도가 생소한 청년들을 위해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
육아휴직제도란근로자가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서 회사에 신청하는 휴직을 말합니다. 육아휴직은 ‘유급으로 진행되는 휴직’이기 때문에 근로자는양육 중 경제적인 부담과 휴직 후 일자리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습니다.

대상
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,
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
기간 자녀 1명당 최대 1년

 

공무원의 경우  1자녀당 수당 나오는 기간은 1년이고,  1자녀 당 휴직 가능한 기간은 3년 입니다.

최근 수당이 1년 6개월로 연장된 다는 것은 아직 검토중인 것이고 아직까지는 1년입니다. 

 

(기존) 3+3 부모 육아 휴직제도란? (2023년도 한정)

부모 모두 3+3개월 육아휴직하면 첫 3개월간 최대 月 300만원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 
원래 첫 3개월에 대해 육아휴직 급여 가 통상임금의 80% 를 지급했는데 이것도 상향되어 통상임금 80%→100% 가 되었습니다. 

 

(기존)  3+3 부모 육아휴직제도 자격 조건 (2023년도 한정)

생후 12개월 내 자녀를 둔 부부 직장인이 올해 1월부터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하면, 두 사람 모두 첫 3개월동안 통상임금의 100% (최대 300만원)을 육아휴직 급여로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.

엄마 3개월 휴직 아빠 3개월 휴직 각각 최대 월 30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2개월 휴직 아빠 2개월 휴직 각각 최대 월 25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1개월 휴직 아빠 1개월 휴직 각각 최대 월 20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 4~12개월 차부터는 통상임금의 80% (월 최대 150만원) 적용

 

예외1 : 만약 부부 중 한 사람만 육아휴직을 쓴다면 첫 3개월에는 기존처럼 통상임금의 80%만 지급됩니다.

예외2 : 공무원 부부일 경우는 한사람만 

(신규) 6+6 육아휴직제도(2024년 1월 1일 부터)

기존 3+3 육아휴직제에서 상향된 제도로 2024년 1월 1일부터 6+6 육아휴직제가 시행됩니다. 

엄마 6개월 휴직 아빠 6개월 휴직 각각 최대 45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5개월 휴직 아빠 5개월 휴직 각각 최대 40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4개월 휴직 아빠 4개월 휴직 각각 최대 35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3개월 휴직 아빠 3개월 휴직 각각 최대 30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2개월 휴직 아빠 2개월 휴직 각각 최대 25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엄마 1개월 휴직 아빠 1개월 휴직 각각 최대 200만원 (통상임금의 100%)
7개월차부터는 통상임금의 80%, 월 상한액 150만원 지급

 

각각의 통상임금이 450만원이 넘는 맞벌이 부부가 6개월 모두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, 첫달엔 200+200 , 둘째달엔 250+250 .. 이렇게 해서 총 3900만원의 급여를 받게 됩니다.

 

(신규) 6+6 육아휴직제 자격 요건 (2024년 1월 1일 부터)

생후 18개월(기존 12개월) 미만 자녀가 있는 가정이면 됩니다. 

 

 

신청방법

온라인 및 오프라인 모두 가능하며 '고용노동부' 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신청기한은 육아휴직을 시작한 날 이후 1개월부터 육아휴직이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 가능하고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, 우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아래 링크를 들어가셔서 사진과 같이 육아휴직 그림을 클릭하시면 손쉽게 대상자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 

 

육아휴직 지원 대상 확인 및 신청 바로가기

 

 

신청서류는 아래와 같습니다.

- 육아휴직 급여 신청서

- 육아휴직 확인서

-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자료

- 육아휴직 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

 

위 서류를 갖고 네이버 지도에서 집주변 고용센터를 찾아서 방문 혹은 온라인 접수하시면 됩니다.

 

반응형